확인해보시고 빠른 조치로 피해를 최소화하기를 권장합니다.
개요
o JavaScript VM2에서 특정 버전의 Nodejs Library를 통해 샌드박스 영역 외부에서 임의 셸코드 수행이 가능한 취약점 확인
o 해당 취약점은 CVSS 10으로 최고 점수 상태로 공표된 상태
- JavaScript sandbox VM2 크리티컬한 취약점이 발견 되었고, 패치가 필요
- 자바스크립트 샌드박스 VM2는 node js에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
- 취약 버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npm audit 으로 확인도 가능
설명
o VM2는 Whitelist에 존재하는 Node.js의 내장 모듈로 특정 버전에서 처리되지 않은 비동기 오류구문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발생하는 샌드박스 우회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이 공표 [1]
o 3.9.15 이전 버전에 적용되는 취약점으로, 해당 취약점의 변종 유형에 대한 POC가 공개된 상황
영향받는 제품 및 해결 방안
o 3.9.15 이전 버전에 적용
o 3.9.15 이상의 버전으로 업데이트 적용 (npm update vm2 또는 npm install을 통한 3.9.15로 업데이트 수행
VE Number: CVE-2023-29017
Affected version: Including and prior to 3.9.14
vm2 version: ~3.9.14
Node version: 18.15.0, 19.8.1, 17.9.1
Fixed version: 3.9.15 of vm2
Workaround: None
Exploit PoC: https://gist.github.com/seongil-wi/2a44e082001b959bfe304b62121fb76d
References
CVE-2023-29017, https://nvd.nist.gov/vuln/detail/CVE-2023-29017
VM2 Sandbox Escape] Vulnerability in vm2@3.9.14, https://github.com/patriksimek/vm2/issues/515
Researchers Discover Critical Remote Code Execution Flaw in vm2 Sandbox Library, https://thehackernews.com/2023/04/researchers-discover-critical-remote.html
Sandbox Escape, patriksimek published GHSA-7jxr-cg7f-gpgv 3 days ago, https://github.com/patriksimek/vm2/security/advisories/GHSA-7jxr-cg7f-gpgv
'CyberSecurity > 보안 취약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eep Linking Vulnerabilities / 딥 링킹 취약점 (0) | 2024.02.14 |
---|---|
TP-Link Archer 취약점 (CVE-2023-1389) (1) | 2024.02.13 |
ThinkPHP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 CVE-2018-20062 (0) | 2023.06.23 |
Microsoft Outlook Elevation of Privilege Vulnerability [CVE-2023-23397] ZeroDay Attack 제로데이 취약점 (0) | 2023.03.18 |